[Web/Javascript] this와 call(), apply(), bind() 이해하기
·
Javascript
안녕하세요.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apply(), call(), bind()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들어가기 전에자바스크립트의 강력함은 그 유연성에 있으며, 이 유연성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함수 콘텍스트입니다. 때로는 우리가 이 콘텍스트를 직접 제어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. 이때 call(), apply(), bind()가 등장합니다. 이들은 함수 호출 방식과 this가 참조하는 대상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서드입니다.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무엇일까요? this는 함수 호출방식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됩니다. 일반함수로 호출한 경우 Global 객체 Method로 호출할 경우 호출한 객체생성자 함수를 호출할 경우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call() / apply() / bind(..
[Web] SSR과 CSR
·
Web
안녕하세요.오늘은 SSR(Server Side Rendering)과 CSR(Client Side Rendering)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들어가며웹 개발을 하면서 자주 언급되는 두 용어는 SSR(Server Side Rendering)과 CSR(Client Side Rendering)입니다. 두 기술 모두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렌더링 하여 보이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방식이 다릅니다. 방식마다 고유한 장점과 그에 따른 단점을 가지고 있어 Frontend 개발자들은 애플리케이션 최적화에 있어 제일 먼저 고려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. 이 글에서는 SSR과 CSR의 작동방식, 장단점을 비교하며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SSR과 CSR 이해하기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파헤치기 전에 SSR과 CSR에 ..